대역폭
대역폭(Bandwidth)의 사전적 의미는 일반적으로 헤르츠로 표시되는 주파수의 범위를 지칭하는 것이다.
ex) 무선 인터넷(Wifi)에서 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2.4GHz, 5GHz이다.
주파수 대역폭이 높을수록 더 많은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공할 수 있어 더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렇게 주파수 대역(2.4GHz, 5GHz)과 네트워크 대역폭(Mbps)은 함께 작용하여 무선 인터넷의 성능을 결정한다.
네트워크 처리량과 네트워크 대역폭
여기서 네트워크 대역폭은 정보 전달에 있어서 전송 용량과 속도에 관여를 한다.
인터넷의 접속 속도는 단위시간 당 송신량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인터넷 접속 속도라고도 볼 수 있다. 대역폭이 높으면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더 많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파이프가 클 수록 파이프에 흐르는 물의 양이 많아지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또 네트워크 처리량은 단위시간 당 실제로 처리되는 데이터의 양이다. 즉, 처리량은 대역폭의 용량을 초과할 수 없고, 대역폭이 높으면 처리량 또한 높아진다.
대역폭 ☝️ != 속도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과 데이터 전송 속도는 비례하지만, 조심해야하는 부분은 무조건 대역폭을 늘린다고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아니다.
실제 데이터 전송 속도는 대역폭 뿐만이 아니라 네트워크의 혼잡도나 지연과 같은 여러 다른 요인들이 작용해서 결정된다.
대역폭의 단위 - Mbps
네트워크 대역폭은 네트워크 링크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역폭은 초당 비트 수로 측정되며, 주로 Mbps(Megabits per second) 단위로 표현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00063&cid=43665&categoryId=43665
'‡Computer Science ‡ > º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Application 7계층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0) | 2024.07.18 |
---|---|
[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0) | 2024.07.15 |
[네트워크] TCP 연결 과정 (0) | 2024.07.12 |
[네트워크] OSI 7계층 모델 (0) | 2024.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