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 모델
배경
OSI 7계층 모델은 ISO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1984년 제정한 네트워크 표준 규격이다.
옛날에는 회사에서 각각의 컴퓨터들이 통신하는 자신만의 프로토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서로 다른 회사의 컴퓨터들끼리의 통신이 어려웠다고 한다. 따라서 ISO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표준 규격을 제정하여 제조사에 상관 없이 모두가 통신할 수 있게 했다.
OSI 7계층
ISO에서는 이러한 통신 규격을 7계층으로 나눠서 계층 별로 독립적인 역할을 분담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사람이 짐을 들고 비행기를 타는 것을 예시로 들어보자.
티켓을 사고, 짐가방을 체크인을 하고, 비행기에 타고, 활주로에 갔다가 routing을 통해 목적지에 도달할 것이다.
이제 이 모든 순서를 역방향으로 진행될 텐데, 이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캡슐화 -> 역캡슐화를 통해 컴퓨터는 통신하고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 과정을 구조화(계층화)를 시키면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로 나누어진다. 각 계층은 각각의 하는 일이 정해져 있고 어떤 하나의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각 계층에 대한 확실한 정리, 논의가 가능하게 하고, 일종의 모듈화를 해서 유지/보수, 업데이트에 좋게 7계층으로 구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각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자!
1계층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실제 데이터 송수신의 역할을 담당
-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고 주고 받기만 함
- ex)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신호 변경
2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데이터를 전송할 기기의 물리주소(MAC 주소)를 결정
- 1계층(물리 계층)으로 부터 전달받은 정보의 전송 오류를 감지
- 재전송 기능도 포함
- ex) MAC, LAN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실제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라우팅을 담당
- 라우팅: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어떤 알고리즘을 통해 최적의 경로로 보낼 지 선택하는 것
- ex)IP패킷 전송
4계층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해당 데이터들이 실제로 정상적으로 보내지는지 확인
-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패킷은 유실되거나 순서가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바로 잡아주기도 함
-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와 중복검사
- Port 번호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전송
- 🌟ex) TCP/UDP연결
5계층 : 세션 계층 Session Layer
- 컴퓨터 간의 통신방식에 대해 결정하는 계층
- 세션 연결의 설정과 해제, 세션 메세지 전송 등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역할
- ex) SSH, TLS
6계층 :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 전송하는 데이터의 표현방식을 결정
- 응용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
- ex)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 변환, png, jpg
7계층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종적으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
-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계층
- ex) HTTP, SMTP
출처
https://velog.io/@angel_eugnen/OSI-7%EA%B3%84%EC%B8%B5-%EB%AA%A8%EB%8D%B8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8C%90-OSI-7%EA%B3%84%EC%B8%B5-%EC%A0%95%EB%A6%AC
'‡Computer Science ‡ > º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Application 7계층 -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0) | 2024.07.18 |
---|---|
[네트워크] DNS(Domain Name System) (0) | 2024.07.15 |
[네트워크] TCP 연결 과정 (0) | 2024.07.12 |
[네트워크] 대역폭(Bandwidth)이란? (0) | 2024.07.12 |